저자(글) 전주람
1979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성균관대학교 가족학(가족관계 및 교육, 가족문화)으로 박사학위를 최종 취득하였다.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학습ㆍ상담심리 연구교수로 2017년 7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재직했으며, 현재는 서울시립대학교 교직부 소속으로 〈심리검사를 활용한 심리치료〉, 〈심리학의 이해〉를 가르치고 있다. 아울러 서울가정법원 상담위원으로 2014년부터 최근까지 활동 중이며, 2022년부터는 통일부 통일교육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속적인 연구 관심사로는 가족관계, 부부회복, 문화갈등, 남북사회문화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50대 부부갈등을 겪는 중년 부부의 변화유발요인과 호르몬 변화에 관한 가족치료 사례연구」(단독), 「20대 이혼을 결심한 신혼기 부부에 관한 가족치료 사례연구」(단독), 「북한이주민과 근무하는 남한사람들의 직장생활 경험에 관한 혼합연구」(공저)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절박한 삶』(공저, 2021년 서울대학교 다양성위원회 선정도서), 『20대에 생각해보지 않으면 후회할 것들』(공저, 2022), 『21세기 부모교육』(공저, 2023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선정도서), 『다음 세대를 위한 남북주민통합: 접촉, 일상, 공존』(공저, 2024), 『북한이주민과 정체성』(공저, 2024), 『북쪽 언니들의 강점 내러티브』(공저, 2024) 등이 있다. 2016년 KBS 〈생로병사의 비밀: 뇌의 기적〉 600회 특집에 부부상담사로, 2021년 KBS 〈통일열차 일요초대석〉에 출연하였다.
저자(글) 곽상인
1976년 전남 진도에서 출생했으며,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자유융합대학 교양교육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학생들에게 주로 (인)문학을 비롯, 다양한 형식의 글쓰기를 강의하고 있다. 2024년부터는 통일부 24기 통일교육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02년 제2회 〈사이버문학상〉에 단편소설 「타래」로 입선했으며, 「상처에서 벗어나거나 혹은 공존하거나(1-2)」(『시와 산문』, 2017년 겨울)로 평론 데뷔를 하였다. 주로 현대소설에 나타난 인물들의 심리 분석을 연구해 왔으며, 최근에는 소설과 영화, 문화 현상 및 북한이주민과 관련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현대소설에 나타난 문신(tattoo)의 유형과 그 의미」, 「채만식 수필에 나타난 근대 공간 속 타자들의 질병」, 「영화 〈국제시장〉에 나타난 시간과 기호의 서사」, 「황석영의 〈바리데기〉에 나타난 환상 서사」 외 다수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으며, 저서로는 『이병주』(공저, 2017), 『절박한 삶』(공저, 2021년 서울대학교 다양성위원회 선정도서), 『20대에 생각해보지 않으면 후회할 것들』(공저, 2022), 『소통ㆍ창의ㆍ공감의 글쓰기』(공저, 2022), 『북한이주민과 정체성』(공저, 2024), 『북쪽 언니들의 강점 내러티브』(공저, 2024) 등이 있다.
저자(글) 김유진
20대 대학 청년으로 서울시립대학교 경제학부에 재학 중이다. 서울시립대학교 서비스러닝을 통해 탈북 아동과의 만남을 시작으로 1년 이상 그들의 학습을 돕는 멘토 역할을 해오고 있다. 최근에는 2023년 한빛누리 민족화해 지원사업 공모전에 〈탈북민 부모대상 부모교육 강연 프로그램 및 온라인 콘텐츠 제작〉이라는 제목으로 수상하여 사회통합과 탈북민의 안정적인 정착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댓글목록0